급여장부를 직접 작성하시는 회계사님들~ 4대 보험을 직원별로 확인하셔야 하는 분들~ 그런 분들을 위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우리 회사는 매달 1일에 급여를 지급해요~ 그래서 20일쯤에 급여장부를 씁니다.
급여대장을 작성할 때 직원마다 급여가 다르기 때문에 4대 보험료도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항상 확인하고 있습니다.
확인방법은 크게 2가지 입니다!
건강보험 EDI를 통해서 / 건강보험 사회보험 통합추진포털을 통해서 사실 두 방법은 거의 동일합니다.
같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redaquamedia, 출처: Unsplash
건강보험 EDI로 계산내역 확인
건강보험 EDI 먼저, 건강보험 EDI에 등록된 사업장은 계산내역이 생성될 때마다 EDI를 통해 서류를 받게 됩니다.
먼저 EDI에 로그인하세요.
그런 다음 전체 포맷을 클릭하고 나타나는 창에서 수신된 문서를 클릭하거나, 홈 화면에서 바로 수신된 문서를 클릭하세요.
다음으로, 새로운 신고(계산)내역 양식에서 4대보험 신고(계산)내역을 클릭하세요.
열리는 새 창에서 검색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팝업이 나타납니다.
그런 다음 생성하려는 급여 대장에 해당하는 통지 연도 및 월에 대한 통지 세부사항을 클릭하십시오.
창이 이렇게 바뀌면서 해당 보험료가 나옵니다.
근로자 총 급여에서 공제되는 금액은 건강보험 536,500원, 장기요양보험 58,640원 입니다!
그리고 7월에 정산되는 보험료도 있습니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급여 대장의 각 근로자입니다.
개인정보이므로 개인정보보기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개별 세부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이 다시 나타납니다.
개인별로 보험료가 정산될 수도 있고 환급될 수도 있으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각종 항목 중 건강통지보험료, 요양통지보험료는 급여대장에서 공제할 수 있습니다.
계산된 보험료 + 정산 보험료 = 고지된 보험료입니다.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탭을 클릭하시면 국민연금, 고용보험도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개별항목을 클릭하시면 다른 링크된 사이트가 나타납니다.
해당 사이트는 건강보험·사회보험 통합징수포털 사이트입니다.
이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건강보험 사회보험 통합징수포털 계산내역조회
건강보험 사회보험 통합징수포털 또 다른 방법인 사회보험 통합징수포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동일한 사이트로 이동하여 직장에 로그인하세요. 상단의 공지사항 확인-보험료 계산내역을 클릭하세요!
보험료 계산내역 조회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중 검색하고 싶은 보험을 선택하고, 신고연도를 선택한 후 검색을 클릭하세요. 건강보험 조회를 하시면 이렇게 전체 계산내역을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아래로 스크롤하시면 당월 통지내역과 전월 납부내역 및 연체내역을 합산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반드시 캡쳐한 것은 아닙니다.
여기에서 개별내역을 확인하시려면 전체계산내역 페이지 우측의 계산내역(개별조회)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버튼이 있습니다.
그것을 클릭해 주세요. 다음과 같은 팝업이 나타나며, 여기에서 개별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와 개호보험료는 상하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계산된 보험료도 나오고, 합의보험료도 나오니 하나씩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앞서 말했듯이 산정보험료 + 결산보험료를 고지보험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조회 및 연금보험과 유사하게, 이전 선택사항에서 국민연금을 선택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계산내역이 나옵니다.
개인계산 내역도 동일하게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국민연금에는 정해진 보험료만 표시됩니다.
여기서, 2로 나눈 금액은 근로자 급여대장에서 공제되는 금액이다.
나머지 절반은 직장에서 부담합니다!
고용보험 조회 마지막으로 고용보험 조회가 있습니다.
(산재보험은 근로자 부담이 아니므로 급여에서 공제되지 않습니다.
) 고용보험도 위와 동일하게 문의하시고, 산정내역은 개별문의 바랍니다.
아래 세부정보가 나타납니다.
고용보험에는 정해진 보험료와 월별 보상액이 함께 제공됩니다.
결정된 보험료는 근로자부담금 + 직장부담금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필요한 것은 급여 대장에서 사원의 몫을 공제하는 것이므로, 각 사원의 월평균 보수를 살펴봐야 합니다.
고용보험 근로자 몫은 월 급여액만 계산하면 된다.
계산내역에 표시된 월 보수액을 적고 각 사업장별 근로자 수를 선택해 계산하면 계산이 되지 않는다.
근로자의 부담과 사업장의 부담이 계산되기 때문에 어려운 계산을 해야 합니다.
사이트 주소도 올려드리겠습니다.
4대 사회보험료 모의계산 지금까지의 급여원장 작성시 필요한 근로자별 4대 보험료 산정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이었습니다.
항상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고,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