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소방연구원은 금속화재에 대한 효과적인 현장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소화약제 검증 실험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18일에는 최근 5년간 153건의 금속화재가 발생해 1500만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경상북도·경남도가 가장 많다.
금속 화실
– 경상남도 김해 화재 : 2021년 2월 23일(화) 22시경 김해 신림면 나루터광장에 주차된 덤프트럭에서 연기와 알루미늄 침전물이 발생해 화재가 발생하기 전 신속한 조치 화재예방 – 경상남도 함안시 화재 : 2021년 2월 9일(화) 15시경 비철금속 선별·선별공정 자연발화, 금속재료 12톤 유실 – 곡성 화재 , 전남도 : 2020년 8월 10일(월) 알루미늄 등 금속 화약류 화재로 22일 만에 진화, 220톤 유실
금속화재는 진화 시간이 오래 걸려 일반 화재보다 현장 대처가 어렵고, 물을 뿌리면 불이 팽창하거나 폭발할 수 있어 특수 소화약제를 사용해 진화해야 한다.
이건 사실이다.
지난해 국립소방연구원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소화약제별 효과와 경제성을 분석해 금속화재 지속시간을 분석했다.
실험 결과 금속폐기물 50kg에 불을 붙이고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팽창성 질석으로 연소면을 덮은 후 완전히 진화하는데 4일 8시간이 소요됐다.
또한, 마그네슘 2kg을 발화시킨 후 화학물질별 소화시간 및 경제성을 분석하여 소방관의 현장 대응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였다.
올해 실험에서는 ISO 7165* 규격에 따라 해외에서 개발된 액화 팽창 질석, 침투형 소화약제, 팽창 유리 분말, 염화나트륨 분말 4종의 소화 효과를 검증한다.
* ISO 7165 : 휴대용 소화기 성능 국제규격 시험으로 금속 마그네슘 분말(순도 99%, 150㎛) 2kg을 발화시켜 표면 25% 연소시 동시에 소화약제 방출, 온도변화, 유효성 및 경제성 분석 실행할 수 있음. 실험 결과는 금속소방대 현장대응능력을 향상시키고 산업현장의 금속화재 예방 중요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